만성췌장염(과음人 중 몇 명? 전자담배는?) 2. 원인
- 만성 췌장염의 두번째 시간입니다.
- 지난 글에서는 만성 췌장염의 개요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
- 이번 글 에서는 만성 췌장염의 원인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.

-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내과학교실 췌장담도파트 정재복 교수님 (현 차의과대학교 일산차병원)을 필두로 췌장학 교과서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여러 교수진들이 오랜 시간 정성을 들여 췌장학 교과서 집필을 하였습니다.
- 저는 "만성 췌장염" 집필에 참여하였습니다.

☆ 만성 췌장염 원인
# 만성 췌장염의 흔한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.
● 술, 알코올 남용 - 가장 흔한 원인
● 유전성 췌장염
● 췌관 막힘 (예: 외상, 결석, 종양)
● 루푸스와 같은 기타 질병
● 낭포성 섬유증 또는 낭포성 섬유증 유전자 돌연변이
● 매우 높은 중성 지방 수치
▶ 이제 하나씩 자세하게 살펴보겠습니다.
1) 음주
- 음주는 오랫동안 만성 췌장염의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.
- 연구마다 다르지만 50%에서 80% 까지 원인에 해당합니다.
- 그럼 술을 마시는 사람 중 몇 명에서 췌장염이 발생할까요?
- 급성 및 만성 췌장염의 원인으로 음주가 가장 중요한 인자이지만, 음주를 하는 사람 중 약 5-15%에서만 급성 췌장염이 발생합니다.
- 음주를 계속할 경우 반복적으로 췌장염이 발생하게 되고, 만성 췌장염으로 진행하게 됩니다.
- 하루 5잔을 넘을 경우 만성 췌장염의발생 가능성이 높아집니다.
2-1) 흡연
- 흡연은 만성 췌장염의 주요 위험 인자 입니다.
- 흡연은 만성 췌장염의 합병증 즉 외분비 부전, 석회화의 진행 그리고 췌관의 변화과도 관계가 있습니다.
- 흡연 기간이 더 관련 있습니다.
- 급성 췌장염에서 만성 췌장염으로의 진행에 가장 중요한 원인입니다!
- 만성 췌장염 환자에게 안전한 담배는 없습니다.
- 반드시 금연입니다!
2-2) 전자 담배
- 전자 담배는 만성 췌장염염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는지는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는 않습니다.
- 하지만, 전자 담배에 존재하는 니코틴은 췌장 효소 손실, 췌장 손상 및 염증과 관련된 위험이 있습니다.
- 따라서 췌장이 나빠져 있거나, 나빠질 가능성이 있는 환자에게 절대 권장되지 않습니다.
- 환자는 니코틴 의존을 관리하기 위한 대체 방법을 고려해야하며, 의료진과 적절한 치료를 논의하여 췌장에 더 이상 나쁜 영향을 주면 안됩니다.
3) 유전적 인자
- 최근에는 만성 췌장염은 유전적인 원인이 결합되어 있는 복잡한 질환으로 고려되고 있습니다.
- 여러 유전자들 중 PRSS1, SPINK1, CFTR 같은 유전자의변이가 만성 췌장염과 강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.
- 한 가지 유전자 변이 보다는 여러 유전자 사이의 상호 연관성 그리고 환경의 영향이 있다고 여겨집니다.
4) 췌관 폐쇄
- 다른 원인 즉 염증, 종양 등에 의해 췌관이 막혀버리게 되면 만성 폐쇄성 췌장염을 유발하게 됩니다.
5) 특발성
- 일부 만성 췌장염에서는 원인이 분명하지 않은 경우가 있습니다.
- 이런 경우가 특발성 만성 췌장염 입니다.
- 단, 다른 원인들을 철저하게 조사 후 완전하게 제외하고 나서 특발성으로 진단하게 됩니다.
6) 고중성지방혈증
- 고중성지방혈증은 급성 및 만성 신장염의 잘 알려진 위험 요인입니다.
- 췌장염이 발생하기 위해 트리글리세리드 수치가 1000mg/dL 이상이어야 합니다.
- 하지만, 이후에는 낮은 수치 상승(>500mg/dL)으로 인해서도 췌장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
- 고중성지방혈증 췌장염 환자는 종종 만성 췌장염으로 진행하게 됩니다.
7) 자가면역
- 자가면역성 췌장염은 만성 췌장염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.
- 자가면역성 췌장염은 추후에 따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.
▲ 정 리
- 만성 췌장염의 가장 흔한 원인은 전통적으로 음주와 흡연입니다.
- 최근에는 유전자 변이, 환경의 영향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고 여겨지고 있습니다.
- 절대 금주와 금연이 원칙입니다. 절주가 아닌 금주입니다.
- 만성 췌장염은 통증, 췌장의 내분비 & 외분비 기능 부전, 췌장암 진행에 대한 평생 췌장 전문의의 관리가 필요합니다.
대구에서 간, 담도/담낭, 췌장 전문 내과 의원으로 지역 주민들의 소화기 건강을 위해 최선을 다해 연구와 진료하겠습니다.
항상 바른 진료만을 생각합니다.
소화기암 전문 소화기내과 이현직
참고문헌
1. Working Group IAP/APA Acute Pancreatitis Guidelines. IAP/APA evidence-based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acute pancreatitis. Pancreatology 2013;13(4 Suppl 2):e1-e15.
2. Banks PA, Freeman ML; the Practice Parameters Committee of the American College of Gastroenterology. Practice guidelines in acute pancreatitis. Am J Gastroenterol 2006;101: 2379-2400.
3. Forsmark CE, Baillie J; AGA Institute Clinical Practice and Economics Committee; AGA Institute Governing Board. AGA Institute technical review on acute pancreatitis. Gastroenterology 2007;132:2022-44.
4. Yokoe M, Takada T, Mayumi T, et al. Japanese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acute pancreatitis: Japanese Guidelines 2015. J Hepatobiliary Pancreat Sci 2015;22:405-432.
5. Banks PA. Practice guidelines in acute pancreatitis. Am J Gastroenterol 1997;92:377-386.
6. Toouli J, Brooke-Smith M, Bassi C, et al.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acute pancreatitis. J Gastroenterol Hepatol 2002;17 Suppl:S15-S39.
7. Pezzilli R, Zerbi A, Di Carlo V, Bassi C, Delle Fave GF; Working Group of the Itali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the Pancreas on Acute Pancreatitis. Practical guidelines for acute pancreatitis. Pancreatology 2010;10:523-535.
8. Whitcomb DC, Frulloni L, Garg P, et al. Chronic pancreatitis: an international draft consensus proposal for a new mechanistic definition. Pancreatology 2016;16:218-224.
9. Braganza JM, Lee SH, McCloy RF, et al. Chronic pancreatitis. Lancet 2011;377:1184-1197.
10. Park WG. Clinical chronic pancreatitis. Curr Opin Gastroenterol 2016;32:415-421.
11. Lee JK. Clinical update on diagnosis of chronic pancreatitis. Korean J Pancreas Biliary Tract 2009;14:3-9.
12. Kim HW, Kim J. Etiology and Diagnosis of Chronic Pancreatitis. Korean J Pancreas Biliary Tract 2017;22(2):57-62