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지난 글에서 췌장낭성종양의 위험 인자와 수술 적응증을 살펴보았습니다.
- IPMN (췌관내유두점액종양) 은 좀 더 복잡하고 자세히 살펴볼 필요가 있어 이렇게 따로 정리하겠습니다.

<고위험 소견>
- IPMN 에서 고위험 소견은 두가지 분류가 있습니다.
⇒ 걱정스러운 특징 (worrisome feature)
⇒ 고위험인자(high-risk stigmata)
왜? 구분할까요?
- 고위험인자가 있는 경우는 수술적 치료를 우선적으로 고려하기 때문입니다.
- 걱정스러운 특징이 있는 경우에는 좀 더 자세한 검사를 우선 고려하기 때문입니다.
: 초음파내시경을 시행하여 벽결절의 크기에 대해서 재평가를 하고 주췌관의 침범 여부를 확인합니다.
: 또한, 초음파내시경 세침흡입검사가 가능하다면, 시행하여 악성세포 유무를 확인할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.
<고위험 인자>
- IPMN의 고위험인자(high-risk stigmata)는 다음 네 가지로 정의됩니다
✔ IPMN의 고위험인자
(1) 폐쇄성 황달
(2) 조영 증강되는 5 mm 이상의 벽 결절 또는 종괴
(3) 10 mm 이상의 주췌관 확장
(4) 췌장 낭종액 세포 검사 결과 암이 의심되는 결과
<걱정스러운 특징>
- IPMN의 걱정스러운 특징 (worrisome feature)는 다음 열가지로 정의됩니다.
✔ IPMN의 걱정스러운 특징
(1) 급성 췌장염
(2) 혈청 CA19-9의 상승
(3) 1년 이내에 새로 진단 또는 급격히 악화된 당뇨병
(4) 30 mm 이상의 낭종
(5) 5 mm 미만의 조영되는 벽 결절
(6) 두껍거나 조영 증강되는 낭종 벽
(7) 5–10 mm의 주췌관 확장
(8) 갑작스러운 췌관 직경 변화 및 원위부 췌장 실질 위축
(9) 림프절 비대
(10) 연간 2.5 mm 이상의 낭종 크기 증가
★ 2024년 개정된 가이드라인 추가 및 수정 사항 ★
: 걱정스러운 특징 중에서
⇒ (3) 1년 이내에 새로 진단되었거나 급격히 악화된 당뇨병 항목의 추가하였습니다.
: 당뇨의 ‘첫 진단’과 ‘급성 악화’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이 없어 추후 좀 더 논의가 필요합니다.
⇒ (10) 낭종의 성장률을 연간 2.5 mm 이상으로 새롭게 수정하였습니다.
< IPMN 과 CA 19-9 >
- 혈청 CA19-9의 상승 (>37 U/L)은 췌장암에 대한 좋은 예측 지표입니다. 이전 췌장암 관련 CA 19-9 글에서 알려드렸습니다.
- IPMN 에서도 CA 19-9는 암으로 진행 예측 지표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.
< Multiple worrisome features > <여러개의 걱정스러운 특징>
- 여러 개의 걱정스러운 특징들이 동시에 존재한다면 하나만 있는 것보다 암 가능성의 위험도가 높아집니다
- 한 연구에 따르면, 걱정스러운 특징이 1,2,3개 있을 때 각각 발생 위험도가 점차 증가하여, 4개 이상일 때는 100%에 이른다고 보고하였습니다.

결 론
1) 제 경험상 IPMN 의 평가에는 한가지 진단 방법 보다는 여러 진단 검사들을 종합하여, 고위험 소견들을 적절하게 평가해야 합니다.
2) 고위험인자 및 걱정스러운 특징들이 존재하는 경우 추가 검사 및 적절한 수술적 치료 방침을 수립해야 됩니다.
대구에서 간, 담도/담낭, 췌장전문 내과 의원으로 지역 주민들의 췌장 건강을 위해 최선을 다해 연구와 진료하겠습니다.
<참고 자료>
췌장낭성종양의 최신 치료 이드라인, 정광현⋅손병관, 대한내과학회지 : 제 94 권 제 4 호 2019
Hong Ja Kim. Recent Strategies for Differentiation and Management of Incidental Pancreatic Cysts, Korean J Fam Pract. 2021;11(3):157-163
췌관 내 유두상 점액 종양의 치료 전략(2024 교토 가이드라인) Korean J Gastroenterol Vol. 83 No. 5, 208-215 Dong Woo Shin
항상 바른 진료만을 생각합니다.
내과의사 현직
'췌장 낭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췌장낭성종양 5. 추적 관찰 전략 (2024년 개정판) (2) | 2025.04.24 |
---|---|
췌장낭성종양 3. 악성 위험도, 수술 기준 (0) | 2025.04.22 |
췌장낭성종양 2. 진단 방법 (1) | 2025.04.19 |
췌장 낭성 종양 1. 분류 및 특징 (0) | 2025.04.1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