췌장, 췌장암

췌장암 진단 4. 초음파내시경 (내시경초음파)

간담췌 내과 이현직교수 2025. 2. 16. 11:27

수 회에 걸쳐 췌장암 진단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.

<참고 자료 : 한국 췌장암 진료 가이드라인 2021, 대한방사선종양학회, 대한병리학회, 대한복부영상의학회, 대한소화기암학회, 대한종양내과학회, 대한췌장담도학회, 대한핵의학회, 한국간담췌외과학회, 국립암센터>

오늘은 췌장암 진단 네번째 시간, 내시경 초음파에 대한 이야기입니다.

이전에 내시경 초음파에 대해 간략하게 알려드렸습니다.

내시경 초음파란, 위내시경+초음파, 즉 내시경 제일 앞 부분에 초음파 기계를 장착하여 위 벽을 통해 췌장을 관찰하는 시술입니다.

초음파내시경 (또는 내시경초음파)

대한췌장담도학회 https://www.kpba.kr/html/?pmode=eus

 

1. 초음파내시경의 기본 이해

  • 초음파내시경은 췌장암의 발견, 감별진단, 병기판정 등에 매우 안전하게 시행할 수 있는 검사입니다.

  • 또한 초음파내시경 검사 중에 병변이 확인되면 바로 초음파내시경 유도하 세포조직검사를 병행하여 병리진단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.

  • 일반적으로 췌장암에서 초음파내시경의 1차적인 역할은 조직검사 확진에 있으나, 추가적인 진단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임상적인 활용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습니다.

  • 췌장암이 의심될 때, 우선적으로 시행하여 진단 및 병기에 많은 정보를 제공하는 검사방법은 췌장 CT입니다. 처음부터 초음파내시경을 시행하지는 않습니다.

  • 초음파내시경은 암이 작거나 혈관침범이나 림프절 전이가 불분명한 경우에, CT 또는 MRI검사의 병기진단과 절제가능성의 예측에 보완적인 역할을 하게 됩니다.

  • 또한 초음파내시경 검사 중에 다른 영상검사에서 발견이 안 된 림프절 전이, 작은 간 전이나 소량의 복수(복막 전이) 등 주변 장기에 전이가 있는 경우 초음파내시경 세침흡인술로 병리진단까지 할 수 있어 불필요한 췌장암 수술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. => 전이가 있을 경우, 수술은 추천되지 않기 때문입니다.

2. 초음파내시경 유도하 세침흡인 검사

  • 최소 침습적인 병리검사방법으로, 절제수술을 할 수 없어 항암이나 방사선치료가 예정된 진행암에서 췌장암 확진을 위해 최근 활발히 이용되고 있습니다.

  • 조직검사를 위해 초음파내시경을 위나 십이지장에 위치 시킵니다. 초음파를 확인하며 췌장암에 접근 합니다. 내시경을 통해 아주 얇은 침을 위/십이지장 벽을 통과시켜 암에 위치시킵니다. 그리고 조직을 획득합니다.

  • 얇은 침(세침)이 지나가기 때문에 다소 침습적이며 드물지만 시술에 따르는 합병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.

  • 췌장암에 있어서 초음파내시경 세침흡인술의 진단 정확도는 85%입니다.

***초음파내시경 검사는 기술적으로 어렵습니다. 충분한 경험이 있는 의사에 의해 시행되어야 합니다***

3. 장점

  • 초음파내시경 검사는 방사선 노출의 위험이 없고 조영제를 사용하지 않는 이점이 있습니다.
  • 최초 CT 또는 MRI 등의 다른 검사에서 병변이 불분명한 경우도 매우 작은 췌장암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.

4. 단점

  • 다소 침습적인 검사입습니다. 시술에 따르는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  • 췌장암 전이 평가에는 제한이 있으므로 CT 또는 MRI 검사 후 추가적인 평가를 위해 고려되는 것 좋습니다.

  • 초음파내시경 검사는 기술적으로 어렵고, 시술자에 의존하므로 충분한 경험이 있는 고도로 훈련된 전문의가 필요하여, 시행 가능한 의료기관이 한정되어 있습니다.

  • 고가의 초음파내시경 장비와 세침흡인술 도구가 필요하며, 비교적 고가의 검사입니다.

  • 시술과 관련된 합병증은 대부분 경미하며 1%-2% 에서 췌장염, 감염, 출혈 등이 생길 수 있습니다.

  • 비교적 비용이 높아 환자 부담이 있을 수 있습니다.

  • 1회로 병리진단이 안 되는 경우에는 재검을 하게 됩니다.

5. 결론

  • 초음파내시경은 암이 작거나 혈관침범이나 림프절 전이가 불분명한 경우에, CT 또는 MRI검사의 병기진단과 절제가능성의 예측에 도움을 줍니다.
  • 췌장암 조직검사 확진이 필요할 때, 초음파내시경 유도하 세침흡인 검사를 시행합니다.
  • 초음파내시경 검사는 기술적으로 어렵고, 합병증이 존재하며, 시술자에 의존하므로 충분한 경험이 있는 고도로 훈련된 전문의가 필요합니다. 시행 가능한 의료기관이 한정되어 있습니다.

 

항상 바른 진료만을 생각합니다.

소화기암 전문의 내과의사 현직